안녕하세요.
해루@모그리입니다.
모험의 시작, Haerubot 1.0.2.8 ~ 1.0.3.0 업데이트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1 백업 시점과는 다른 경로에 복원 설치를 시도했을 때, FFXIV Parsing 플러그인을 제외한 나머지 플러그인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았던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발신자 duvw**** 님의 메일 제보입니다.
구 해루봇으로 만든 설치팩을 신 해루봇에 적용했을 때, FFXIV_ACT_Plugin을 제외한 모든 플러그인의 연결이 다 끊겨 있는 모습을 보셨을 겁니다. 저는 이 문제가 구 해루봇이 아니라 더 이전의 2019년까지의 설치팩으로 설치했던 ACT 폴더를 구 해루봇으로 백업하고, 신 해루봇으로 복원했을 때 발생하는 줄 알았습니다.
분명히 복원 부분을 개발할 때 구 해루봇의 백업 파일로 충분히 테스트를 거쳤습니다. 그런데 일부 유저분들께서 '복원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재설치를 해야 하는 것인가?'라고 여쭤 보셔서 지속적으로 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간 백업/복원 부분에 다양한 경로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테스트와 수정 업데이트를 여러 번 진행했었고, 차츰 백업이랑 복원에 큰 문제가 없는 것 같아서 위와 같은 스크린샷을 봤을 때는 도대체 원인이 뭔지 정말로 답답하던 차였습니다. 결국 제보자께 ACT 백업 파일을 전달받을 수 있었고 그제야 원인을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과거의 설치팩으로 설치를 하신 분들은 당연히 재설치를 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때 당시의 ACT 폴더는 설정과 실제 파일이 서로 엮여 있기 때문에 중복 플러그인 인식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구 해루봇의 백업 파일로 신 해루봇으로 복원을 시도했을 때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던 원인은 ACT 설정 파일 내 플러그인 부분의 경로 강제 조정 부분이 누락된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백업 시점과 동일한 곳에 복원을 시도하면 성공적으로 진행됐으나, 경로가 서로 다른 곳에 복원을 시도하면 위와 같이 기본 플러그인을 제외한 모든 플러그인의 연결이 끊겼던 것입니다.
이번 패치부터 누락된 부분을 꼼꼼히 채워 정상적으로 복원이 진행될 수 있도록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2 ACT 연동 시 Haerubot에서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 플러그인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해루봇에서 지원을 종료한 플러그인이 몇 가지 있습니다.
각자 다양한 이유로 지원이 종료되었는데 종료 사유는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어쨌든 더 이상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플러그인이기 때문에 굳이 파일을 갖고 계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ACT 연동> 시 파일을 정리하는 기능을 넣었습니다.
예(Y)를 클릭하면 지원하지 않는 플러그인의 데이터는 완전히 삭제됩니다.
아니오(N)를 클릭하면 그대로 남겨둡니다.
각자의 판단에 따라서 작업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 추가
원래는 일괄 삭제였는데, 남기고 싶은 유저가 있을 지도 몰라서 각 폴더마다 사용자의 확인을 받은 후 삭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변경했습니다.
#3 한국 서버에서도 Hojoring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6.0 플러그인에서는 아예 차단이 됐었는데, 6.01 업데이트 이후 한국 서버에서도 Hojoring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위와 같이 우측 상단에 창이 뜨는데, 리소스 파일이 없으면 자동으로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이때 강제로 종료하시면 안 됩니다.
이 과정을 정상적으로 마치지 않으면 Hojoring 플러그인의 로드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초기 리소스 세팅에는 생각보다(?) 긴 시간이 걸립니다.
정말로 정말로 긴 시간이 걸립니다.
아닐 것 같죠?
진짜예요.
정말인데?
확인해 보세요.
제가 이렇게까지 글을 강조하며 썼을 때는 이유가 있겠죠?!
제발 기다리세요!
하필이면 노란 창이 최상단이 아니라 최하단에 위치해서, 게임이나 일부 창에 가려서 안 보일 수도 있습니다.
절대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ACT 종료 등의 강제 조작을 절대 하지 마시고 모든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충분히, 아주 충분히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리소스 파일 다운로드 작업이 완료되지 않으면 위와 같이 스페스페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로드 자체가 아예 안 됩니다. 진짜 사용할 수 있는 단계가 되면 우측 상단에 SPESPE라는 주황색 버튼이 뜹니다.
바로 아래 스크린샷처럼 말입니다.
안전하게 설치하여 안전하게 기다리면 이렇게 특별한 에러 메시지 없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테스트한답시고 매칭 키워드를 스킬명만 달랑 써놨는데 저렇게 따라 하시면 안 됩니다. 실사용을 하려면 로그를 분석하셔서 트리거를 짜야합니다. 그래서 말인데 혹시 6.0부터 ACT 로그 형식이 바뀐 것을 알고 계십니까? 기존의 매칭 키워드로는 트리거 인식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글들을 참고하셔서 안전하고 완벽한 사용이 될 수 있도록 합니다.
잘 되던 커스텀 트리거가 6.0부터 안 돼요.
트리거 좀 쓸 줄 안다는 사람은 다 안다는 마법의 문장입니다. 내 캐릭터가 받은 효과에 대한 알림을 받을 때 쓰는 트리거이고 많은 분들이 사용 중인걸로 압니다. 그런데 6.0부터는 아마 안 되실
ffxivhaeru.tistory.com
Haerubot을 바로 가기 아이콘으로 사용 중인데, 어느 날 갑자기 json 파일이 5개 생깁니다.
이 파일들의 정체는 Hojoring(이하 호조링)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파일입니다. 아마도 ACT를 실행하게 되는 위치에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 같은데, 해루봇의 바로 가기로 AC
ffxivhaeru.tistory.com
위의 글들은 스페스페 사용자라면 한 번은 꼭 읽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별로 긴 글도 아닙니다.
해루봇으로 설치하고 무작정 실행하시면, 보시는 것처럼 Hojoring 계열 플러그인이 전부 추가됩니다.
사실 일반적인 트리거 기능을 기대한다면 Special Spell Timer만 있어도 됩니다.
사용하지 않을 플러그인은 체인 버튼을 클릭해서 연결을 해제하고 실행하시면 되겠습니다.
🚫🚫 그리고 일부 기능이 제대로 동작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
아무래도 글로벌 서버에 최적화된 플러그인이다 보니 자잘한 버그에 대해서는 유저분들의 양해를 바랍니다.
또한, 뭐가 잘 안 되거나 이상하면 해루가 아니라 anoyetta 님께 문의하시면 되겠습니다. 저한테 물어도 저는 잘 모릅니다.
#4 플러그인 업데이트 시 ACT에 중복으로 플러그인 데이터가 추가되는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ACT를 실행하면 ACT가 알아서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기 때문에 큰 버그는 아닙니다.
그래도 논리상 추가하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앞으로는 플러그인이 이미 연결 중일 때, ACT 설정 파일에 플러그인 연결 데이터를 추가하지 않습니다.
#5 현지 시각 표기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기준이 되는 UTC 시각에서 현지 시각으로 변환할 때 시간대가 적용되지 않고 잘려서 변환되고 있었습니다. 어쩐지 제가 업로드하는 시각과 표기되는 시각이 다르더라고요. 이전 버전까지는 한국 시간 기준으로 -9 시간 된 시각이 현지 시각으로 표시되고 있었습니다.
연산은 UTC 시각을 사용하므로 큰 문제는 아니었지만 보여지는 부분도 중요하니까요. 어쨌든 정말로 수정했습니다.
#6 Hojoring 계열 플러그인 업데이트 확인 시각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가장 기준이 되는 Special Spell Timer 플러그인은 정상적으로 업데이트 확인 시각이 표시됐는데, 나머지 SubPlugin들의 시각이 가장 처음에 조회되는 Haerubot의 최신 업데이트 확인 시각으로 적용되고 있었습니다. SubPlugin의 데이터는 기준 플러그인의 데이터를 반영해서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했습니다.
#7 복원 시 Cactbot 유저 폴더와 OverlayPlugin의 파일 스킨에 대한 검증을 진행합니다.
제가 복원 과정을 너무 만만하게 봤던 것 같습니다. 경로를 변경해야 하는 부분이 너무 많네요.
생각해보니 구 해루봇도 이 정도까지 처리하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 그동안 여러분들은 어떻게 사용하고 계셨던 것인지 궁금할 지경입니다. 백업 당시의 경로와 복원 당시의 경로가 서로 다를 경우에 Cactbot 유저 폴더 경로와 OverlayPlugin 파일 스킨의 경로를 복원 당시의 새로운 경로로 강제로 변경해서 적용합니다. 이렇게 해야 로드 오류가 없습니다.
그리고 Cactbot 오버레이 중 파일 스킨을 사용하고 있다면 강제로 웹 스킨 URL로 변경합니다. Cactbot은 웹 스킨을 사용해야 서버의 최신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8 Haerubot과 Haeurbot Updater의 업데이트 확인 로직의 일부를 변경했습니다.
한국과는 시간대가 완전히 다른 유저 분들이 꽤 많이 계신 것 같습니다. 분명히 UTC 시간으로 판정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뭔가 인식이 제대로 안 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서 좀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값을 조정했습니다.
#9 일부 로그 출력을 수정했습니다.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일부 로그의 출력 내용을 변경했습니다.
#10 날짜 형식의 로직을 다시 수정했습니다.
해외에 거주하시는 분들 외에도 날짜를 온갖 형태로 커스터마이징 해서 쓰시는 유저분들이 정말로 많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요일 없는 분, 연도 없는 분, 월이 2자리인 분, 1자리인 분, 시간이 없는 분 등등. 며칠 동안 수도 없이 많은 제보를 받았습니다. 도대체 구 해루봇 시절에는 모두들 어떻게 쓰신 것인지 의문이 절로 생길 정도로요. 구 해루봇은 사용자의 날짜 형식을 아묻따 무조건 변경해버렸는데, 제게 '날짜가 왜 바뀌는 거죠?'라고 물어본 분들이 거의 손에 꼽을 지경이었거든요. 아직도 미스테리하네요…….
아무튼 신 해루봇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도록 개발 방향을 잡았습니다. 정말로 날짜에 구애받지 않도록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왜 다양한 형식을 포용하지 못하는지 정말로 깝깝하더군요. 이전 버전까지는 날짜 오류로 실행이 안 되는 사용자들을 해결해 주기 위해 제어판 레지스트리 값에 접근해서 뭔가 값이 부족한 커스터마이징은 강제로 변환시키기도 했습니다. 취지에는 맞지 않지만 당장의 오류 해결이 급하니까요.
그런데 그렇게 해서는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모든 예외 처리가 있어야 하는데 너무 복잡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게 됩니다. 좀 더 깊게 살펴 보니 웹에서 파싱한 데이터를 사용 가능하게 변환할 때, 날짜 형식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날짜 형식으로 자동으로 변환되고 있었습니다. 저도 라이브러리를 가져 와서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니 이런 디테일한 부분을 몰랐습니다. 개발 당시에도 그냥 한국어(대한민국)의 표준 형식을 따르다 보니 그만……. 파싱 데이터는 UTC 표준 시간대 형식을 그대로 받아 오는데, 데이터 변환만 하면 사용자의 뒤죽박죽한 커스터마이징을 따르니 미치고 팔짝 뛸 지경이었는데 그것이 결국 라이브러리의 격한 배려였다니!
라이브러리의 격한 배려를 차단하는 것으로 날짜 문제를 종결합니다. 이런 배려따위 제게는 필요 없습니다. 이제 스크린샷과 같이 온갖 커스터마이징 된 날짜 형식을 사용해도 문제없이 해루봇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진짜입니다. 정말로 최종의 최종입니다. 설마 그래서는 안 되지만 또 문제가 있다면 메일을 부탁드립니다. 😭😭😭😭😭
#11 백업 시 파일 이름에 포함되는 시간을 로컬 시간대로 변경합니다.
로컬에서 사용하는 백업 파일까지 UTC 시간대를 적용하니 오히려 혼란만 가중생기는 것 같습니다. 백업 파일명은 로컬 시간을 따르기로 변경했습니다.
#12 Cactbot 오버레이 스킨에서 404 오류가 뜨는 문제를 수정했습니다.
발신자 And Cherry Wine 님의 메일 제보입니다.
1.0.3.0 버전에서 cactbot 중복 경로를 처리합니다. 만약 사용자가 cactbot 폴더 하위에 있는 cactbot 폴더 등 임의의 경로에서 직접 파일 스킨을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웹 스킨으로의 전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사용자마다 경로가 다를 수 있으니 경로를 파악해서 파일 스킨에서 웹 스킨으로의 변환이 제대로 처리될 수 있도록 로직을 추가했습니다.
처음 로직을 넣을 때는 해루봇이 설치해주는 기본 경로를 기준으로 생각했습니다.
급히 수정했긴 한데 혹시 피해자분들이 많으실까봐 걱정되네요. 😭😭
이미 404가 뜬 분들은 ACT → Plugins → OverlayPlugin 탭에서 해당 스킨 이름을 클릭한 후 "삭제" 버튼을 클릭해서 삭제하시고, 해루봇을 열어 동일한 오버레이를 다시 연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모험 되시길!
'✏️ 패치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3.4 패치노트 (2) | 2022.06.14 |
---|---|
1.0.3.3 패치노트 (0) | 2022.06.13 |
1.0.2.7 패치노트 (Haerubot Updater 1.0.0.2) (8) | 2022.06.08 |
1.0.2.6 패치노트 (11) | 2022.06.05 |
1.0.2.5 패치노트 (2022-06-03 20:02:29) (0) | 2022.06.03 |